처인구가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중심으로 떠오르는 이유는 국내를 대표하는 기업인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조 단위' 투자를 단행해 대규모 반도체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있어서다.
먼저 SK하이닉스가 122조를 투자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는 지난달 착공에 돌입했다. 대역폭메모리(HBM) 등 차세대 D램 생산기지로 거듭날 이 산업단지는 약 415만㎡(126만평) 부지에 팹(반도체 생산시설) 4기와 인프라, 업체 협력화 단지 등을 순차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지난달 착공에 나선 1기 팹은 2027년 5월 준공이 목표로 공사가 한창이다.
삼성전자가 이동·남사읍 일대 조성할 '첨단 시스템 반도체 국가산업단지'는 투자 금액만 무려 360조원에 달한다.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 받으면서 일반적으로 발표 후 4년 6개월 가량이 소요되는 정부 승인 기간이 1년 9개월로 단축되며, 조성에 더욱 속도가 붙고 있다. 삼성전자 역시 이 산업단지에 팹 6기를 지을 계획이다.
글로벌 반도체 산업단지 조성이 한창인 가운데 산업단지 생산성과 경쟁력, 근로자 편익을 위한 교통 인프라 확장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산업단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교통 인프라인 만큼 주변 부동산 시장도 들썩이는 모양새다. 산업단지 개발에 따른 미래가치를 공유해 가치 상승 여력이 높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와 용인시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조성할 첨단 시스템 반도체 국가산업단지를 관통하는 국도 45호선 확장이 추진되고 있다. 총 연장 12.5km 길이로 왕복 8차선의 대규모 교통 인프라다. SK하이닉스가 착공에 들어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로 이어지는 국지도 57호선 원삼~마평 구간도 4차선으로 확장을 추진 중이다.
용인에서 동탄신도시로 연결되는 국지도 84호선 개설 및 확장 공사도 진행 중이다. 지난해 말 기준 공정률이 70%에 달하며, 2026년 12월 개통을 앞두고 있다. 향후 이 도로가 개통되면 용인에서 동탄신도시를 편리하게 오갈 수 있어 생활인프라 공유도 가능해진다.
이처럼 대규모 산업단지로 이어지는 교통 인프라 확장에 인근 부동산 시장이 뜨겁다. 직주근접 효과는 물론 미래가치까지 공유해 억대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어서다.
일례로 글로벌 반도체 기업인 대만의 TSMC가 위치한 대만 신주 과학단지 인근 주거시설은 다양한 인프라 확장 이후 부동산 가치가 급등했다. 대만 부동산 업체인 신의부동산 주요지역 주택가격 지수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신주시 주택가격 지수는 무려 2.6배나 치솟았다. 같은 기간 대만의 수도인 타이베이 상승률인 1.4배보다 두 배 가량 높은 수치다.
TSMC가 투자하는 대만 신주 과학단지 규모가 용인 처인구에 계획된 산업단지들과 흡사한 만큼 용인 처인구 부동산 가치도 급등할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 대만 과학단지에는 약 13.75㎢ 규모에, 종사자 17만명, TSMC 반도체 팹 6기 등이 운용 중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용인에 투자 규모(총 11.5㎢, 팹 10기)와 유사하다.
용인 처인구에서는 대우건설이 선보이는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가 대표적인 교통 인프라 확장의 최대 수혜 단지로 손꼽히고 있다. 앞서 완판된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1단지에 이어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는 올 4월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59?84㎡ 총 2,043가구 규모로, 앞서 공급된 1단지와 합쳐 총 3,724가구의 대규모 브랜드 타운을 이룬다.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단지 분양가 4월 오픈
관련링크 : https://house-your.com/